본문 바로가기

민암님 세상

교내 축구장에서 파크골프 연습 금지하는 규정이나 이유에 대해 설명한 파크골프지도과 손상우 교수

728x90

축구 운동장에서 파크골프를 금지하는 특정한 법규는 존재하지 않지만, 공공시설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인 법규와 규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축구장에서 파크골프를 금지하는 이유는 주로 안전, 시설 보호, 시설 사용 목적 등에 관한 규정 때문입니다. 이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관련 법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이 법은 공공 및 민간 체육시설의 설치와 이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각 체육시설은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축구장은 축구 경기를 위해 설치된 시설이기 때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려면 허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27조(체육시설의 관리·운영)에서는 체육시설의 사용이 원래 용도에 맞게 운영되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축구장과 같은 시설에서 파크골프를 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공공체육시설 관리 규정

각 지방자치단체나 체육시설 관리 기관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특정 체육시설은 본래 용도 외의 활동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축구장은 축구를 위한 목적으로 관리되며, 시설 관리 규정에서 다른 스포츠나 활동을 금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나 각 지자체의 공공체육시설 이용 규칙에서는 시설의 본래 목적 외 사용을 금지하거나 사전 허가 없이 다른 활동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지방자치단체 조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 지역의 체육시설 운영과 관리에 대한 조례를 제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시설의 사용 목적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육시설 이용 및 관리 조례에서 축구장과 같은 시설은 본래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4. 안전 관련 법령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이나 공공시설물 관리에 관한 법규에서는 시설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특정 활동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습니다. 축구장에서 파크골프를 할 경우 공이 빠르게 날아가거나 클럽을 휘두르는 등의 활동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규정에 따라 금지될 수 있습니다.


5. 시설 운영자의 규정

각 공공 또는 민간 체육시설 운영자는 자체적으로 시설 이용 규칙을 정하고 이를 따르게 할 수 있습니다. 축구장 운영자는 축구 외 다른 스포츠 활동을 금지할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파크골프와 같은 활동은 안전 문제나 시설 파손 우려로 인해 금지될 수 있습니다.


결론:

파크골프가 축구장에서 금지되는 것은 특정한 법규보다 시설의 용도, 관리 규정, 안전 관련 법률 등의 적용에 따른 결과입니다. 시설 운영자나 관리 당국의 규정에 따라 축구장은 축구 경기만을 위해 사용되며, 다른 스포츠 활동은 금지될 수 있습니다.